재활/발목(8)
-
[내앓내통]내가 앓아본 내 통증편.발목인대파열과 구분해야 할 후경골근염
posterior tibial tendon 후경골건은 발목 안쪽을 따라 있는 건이며 발을 안정화시키는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우리 발은 발등을 따라 내측 복사뼈 옆으로 올라간다 종아리 안쪽 깊숙히 묻혀 있는 뒤쪽 경골근에 붙는다. (후부 경골 힘줄은 종아리 뒤쪽의 근육을 발에 부착한다. 힘줄은 발목 위에 형성되고 발목 안쪽의 뼈 뒤를 통과한다. 그것은 내측 아치에 가까운 발의 안쪽에 직접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힘줄은 아치와 발목 내부를 지지한다) 경골건은 아치를 유지하고 달리거나 걸을떄마다 발을 지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자리에 고정하며 지면에서 밀어낼 때 발을 강력하고 견고한 구성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발목 안쪽이 아파요. 일반적으로 힘줄 문제는 발목 뼈 안쪽 (내측 malleolus) 수준에..
2022.04.12 -
[내앓내통]내가 앓아본 내 통증편. 전거비 인대 파열 /세종스포츠 정형외과 (김진수 원장님) 진료후기
서론 광진구 세종대학교 근처에 있는 세종스포츠 정형외과를 방문하였다. (전)cm충무병원-세종스포츠 정형외과에서 근무중인 김진수 원장님을 만나기 위해서였다. 스포츠 발목 손상 수술로 유명하신 발목계의 3대장..? 으로 유명하신 분이다. 사실 이번에 처음으로 방문하게 된 것은 아니다. 2년전에 스쿼트 중 발목이 아프기 시작한 후 자주삐게되어 처음으로 방문하였고 발목불안정증 진단을 받아 대구 ms재건에서 재활을 다녀 치료한 경험이 있다. 그때 김진수 원장님께서는 발목 불안정증이 있는데 이것은 충분히 재활로 나을 수 있다고 하셨고 하지만 재활 후에도 추후 또 스포츠 활동을 할 시 불안정증이 남아 있을 수 도 있다고 하셨었는데 딱 내가 그런케이스에 해당되었따. 런닝이나 풋살같은 운동을 했을 때 테이핑을 하지 않으..
2022.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