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앓내통]내가 앓아본 내 통증편. 지방패드증후군 (vs족저근막염) 통증 관리법

2022. 4. 15. 14:34재활/발목

반응형

저는 2020년 경에 발바닥이 아파 대구발아정형외과에서 윤현국 원장님께 초음파 판독으로

족저근막염과 지방패드 증후군이 둘다 있다는 얘기를 들었고 두가지가 어떻게 다르고 치료법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을 들었고 그 계기로 통증을 관리하게 되어 현재는 약간의 불편함은 가지고 있지만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신발신고 걸을떄 통증없고, 달리기도 가능해요)

 

원장님께 들은 내용과 제가 구글링을 통해서 찾은 정보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먼저, 족저근막염과 뒤꿈치지방패드증후군을 구별해야합니다

 

저처럼 두가지 같이 가지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단독으로 생기는 분들도 있으시겠죠

 

족저근막염과 발뒤꿈치 패드 증후군은
발뒤꿈치 통증의 원인입니다
두 방식은 매우 다른 치료를 요구로 합니다

족저근막은 넓고 두꺼운 힘줄입니다
발바닥 근막의 기능은 발지지 및 안정성
그래서 걷거나 달리는 동안 발가락이 위쪽으로 구부러져
발바닥 근막이 긴장되고, 이렇게 함으로써
발바닥 아치가 아래에서 무너지지 않고 효과적으로 걷거나 달릴 수 있습니다
근막염은 발바닥에 있는 족저근막이 자극을 받거나 퇴행성인 경우입니다
족저근막은 우리가 달리거나 걸을때 마다 족저근막에 하중이 가해지면서
아프기 시작하고 일반적으로 발뒤꿈치 아래쪽에 국한된 통증을 느낍니다

지방패드증후군은 주변 지방조직의 자극입니다.종골, 특히 아래쪽에 있으며 

젊은 층에서 생기는 이유는(달리기 또는 훈련 부하의 급격한 증가 
또는 맨발로 단단한 표면에 착지하여 종골 아래의 지방패드에 자극이나 염증을 일으키는 것과 같은 둔기 외상으로 인해
염증이 생길수 있습니다

 

노년층 특히 50대 갱령기 여성에게서 생기는 이유는 호르몬의 변화로 발바닥 지방패드가 얇아진다고 합니다.

 

윤현국 원장님께서는 젊은 층에서 위와 같은 이유로 생겼을 경우 이거는 비교적 잘 낫는다고 합니다.

비교적 갱령기 여성에게서 발병했을 경우는 잘 안낫는다고 해요..

 

 

 

 

 


우리가 둘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가 테스트는 카프레이즈입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족저근막에 있으므로
발가락으로 올라갈떄 발뒤꿈치 통증이 증가하면 족저근막이 발뒤꿈치 통증이  
발뒤꿈치 통증의 원인일 수 있고
올라갈떄 뒤꿈치 통증이 감소한다면 뒤꿈치 패드가 통증의 원인이고 진단이 패드 증후군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본인이 자가 테스트 하는 방식은 엄연히 한계가 존재하고

정확하게 진단해 낼 줄 아는 족부전문의를 방문하여, 초음파 진단을 통해 구분하는게 정확할 수 있겠습니다

mri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 부분은 족부전문의에게 문의해 보시길 바랍니다.

 

 뒤꿈치 패드 통증은 발의 기저부에서 뒤꿈치 중간에 발생하는 통증입니다.

콘크리트나 타일과 같은 단단한 표면을 맨발로 걷는 것은 통증을 악화시킵니다. 

 

 

아무튼, 구분이 되었다면  두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은 상이합니다.

 

 

족저근막염의 관리는 그들이 고통스러운 조직에 염증세포가 없다는 것이 실험을 통해 발견되었고 실제로는 콜라겐 섬유의 퇴행성  

상태기 때문에 족저근막에 있는 콜라겐 섬유가 파괴되면 발에 환경을 조성하여 콜라겐 합성과 조직 복구를 촉진하여 근본적으로 염증을 유발하는 다양한 치료를 시행합니다(힐트레이저나 체외충격파가 해당될수 있겠죠)

반면에 뒤꿈치 패드 증후군은 염증상태와 지방조직의 실제 염증이 더 많은 염증을 만들어 상황을 악화시킬 것이므로 
족저근막염은 염증 반응을 촉진하고 뒤꿈치패드증후군은 염증을 진정시켜야 할 것입니다.(레이저나 체외충격파가 소용이 없고 오히려 상태를 악화시킵니다. 이건 직접 원장님께 들은 내용입니다)

 

그럼 마땅히 지방패드증후군은 치료방법이 없는건가요? 네 직관적인 치료법은 없다고 합니다. 

얇아진 지방패드가 다시 두꺼워지지는 않는다고 해요. 대신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통증을 관리하여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불편함을 감소시키거나 통증을 적게 할 수는 있습니다. 

 


먼저, 쿠션이 더많고 발밑이 더부드러운 신발을 신음으로써 발뒤꿈치의 자극 정도를 줄일수 있습니다.

 

스케처스 브랜드의 고워크 제품

한 예시를 든 것으로 발 밑창이 이렇게 ( 모양으로 된 것을 신어야합니다

그 이유는 저런 신발이 신발을 힘을 주어 구부렸을떄 신축성있게 구부려지고

그런 구부러지는 신발이 실제로 보행시 발에 도움을 줍니다

낮은 굽(1인치 이하)을 신고 맨발로 걷기를 피하십시오.

또한 실내에서도 슬리퍼를 착용하셔야 합니다(이 부분 중요!)

 

 

그리고 통증이

앞서 지방패드가 얇아져서 생긴 것이라고 했죠?

그래서 위와 같이 병원에서 처방해주는 실리콘패드(힐컵), 그리고 아마 해외직구를 통해 구매하실 수 있을겁니다(저는 병원에서 처방해주었습니다)

 

위와 같은 실리콘 패드를 신발에 넣어주어 얇은 지방패드를 대체해 주는 것 입니다.

 

위와 같이 반틈만 까는 것(힐컵)과 전체면을 다 덮어주는 것이 있고 저는 아래 제품과 같은 발을 다 덮어주는 제품을 사용했었습니다. 약 6개월 정도 사용하여 증상이 완화되어 현재는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고충격 체중 부하 운동을 사이클링, 수영, 수영장 달리기와 같은 저충격 대안으로 전환하십시오.

 

그 외에 소염제 /정형신발 

 

15~20분 간격으로 발뒤꿈치에 아이싱하는 방법이 도움될 수 있다고 합니다.

 

 

 

ps. 위 내용은 제가 구글링 한 내용과 해외 유투브 내용, 족부 전문의의 의견을 종합하여 정리 한 것이고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fat pad syndrome 을 구글링 해 보시거나 해외유투브 영상을 찾아보시면 도움되실거에요

지방패드증후군에 대해서 우리나라 유투브 영상은 크게 도움되는거는 찾지 못하였었습니다.

 

다음에는 족저근막염 관리법에 대해서 리뷰하겠습니다

반응형